뉴스하이
실생활에 필요한 각종 정보 공유

대형 생활 폐기물, 가구 버리는 간편 방법! 스티커 발급 및 파는 곳(구청, 주민 센터, 편의점) & 빼기 앱 설치 링크

대형 생활 폐기물, 가구 버리는 간편 방법! 스티커 발급 및 파는 곳(구청, 주민 센터, 편의점) & 빼기 앱 설치 링크

대형 폐기물 처리 및 수거 업체에서 가구, 가전제품을 버리기 위해 폐기물 스티커 발급 및 파는 곳을 궁금해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주민 센터, 구청, 편의점 어느 곳에서 판매하는 지도요. 폐기물 스티커도 필요 없이 인터넷이나 빼기라는 모바일 앱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 드릴 테니 자세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대형 폐기물 스티커 발급 및 파는 곳

예전에는 수거 업체나 주민 센터, 구청에 전화를 하고 스티커를 구매해서 폐기물에 붙여서 집 앞에 내놓으면 수거하는 방식으로 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수거 업체 정보를 미리 알아야 하고 별도로 대형 폐기물 스티커를 붙여야 하기 때문에 판매처를 찾아 헤매야 했었습니다.

이제는 구청이나 주민 센터 홈페이지에서 인터넷으로 접수하거나 오늘 소개할 빼기라는 앱을 모바일에서 설치하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크기에 따라 요금이 매겨지기에 해당 요금의 현금을 들고 나갈 필요도 없고, 스티커를 구매하기 위해 주민 센터나 편의점을 이리저리 찾아 헤매지 않아도 됩니다.


대형 생활 폐기물, 가구 버리는 간편 방법! 스티커 발급 및 파는 곳(구청, 주민 센터, 편의점) & 빼기 앱 설치 링크


생활 폐기물 수거 처리 

이사를 가거나 가정에서 사용하던 가전제품이나 대형 가구를 막상 버려야 하는데 어디다 전화를 해야 할지 어떻게 처리를 해야 할지 난감할 때가 있었을 겁니다. 

아무 조치 없이 대형 폐기물을 무단 투기 하다가 적발될 경우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기도 하고요. 

단, 버리려는 물건 중에서 냉장고, 세탁기, TV, 에어컨 같은 4대 가전제품이나 전자레인지, 공기청정기 등은 무상으로 방문해서 수거하고 있습니다.

한국전자제품 자원순환공제조합 콜센터에 배출 예약을 하면 별도의 비용 지출없이 처리할 수 있습니다. 

  • 대표 전화번호 : 1599 - 0903
  • 순환거버넌스 홈페이지 바로 가기 : www.15990903.or.kr

그 외에 집에서 사용하던 책장, 장롱, 침대 매트리스, 의자, 책상, 탁자같은 가구나 런닝머신같은 운동기구처럼 크기가 큰 생활 대형 폐기물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오늘 소개할 방식은 2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구청 홈페이지에서 접수하는 방식과 모바일 앱을 설치해서 처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죠. 



구청 홈페이지 접속

예를 들자면 서초구청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첫 화면에 보이는 좌측 메뉴 중에서 생활을 선택하고 대형폐기물처리 버튼을 클릭합니다.

생활 대형 폐기물 처리 방법 - 대형 폐기물 스티커 발급 및 파는 곳(구청, 주민 센터, 편의점)

해당 페이지에서 신고 및 배출방법 탭을 선택합니다.

생활 대형 폐기물 처리 방법 - 대형 폐기물 스티커 발급 및 파는 곳(구청, 주민 센터, 편의점)

이 페이지에서는 3가지 방법을 제시하는데 전화 접수를 하거나, 인터넷 접수, 빼기 앱 접수를 안내합니다. 하단에는 각 동 별로 대형 폐기물 처리 지역이 구분되어 있으며 대행 업체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구청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수거 업체와 전화 번호를 통해서 각 단계별로 시행하면 됩니다.



빼기 앱

가장 편한 방법이라고 생각되는 건 바로 스마트폰에 모바일 어플인 빼기라는 걸 깔아서 처리 하는 걸 추천합니다.

PC 상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데 우선 회원 가입을 해야 합니다. 회원 가입하기 번거롭다면 홈페이지 상단의 로그인 버튼을 눌러보면 카카오톡이나 네이버 계정, 애플 계정을 통해 연동 시킬 수 있습니다.


로그인 상태에서 메인 페이지 화면에서 좌측의 수거 신청하기 버튼이나 상단의 대형 폐기물 수거신청 버튼을 누르면 신청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입력란에 하나씩 기입해줍니다.

신청자 정보

  1. 배출 주소의 우편번호 검색 버튼을 눌러 주소를 입력합니다.
  2. 상세 주소 입력
  3. 물품 배출 위치 지도에서 거주지의 위치가 맞는지 확인
  4. 지도 하단에 배출할 세부 장소를 입력합니다.
  5. 신청자명, 휴대폰 번호, 이메일 정보를 입력합니다.

버릴 품목 정보

상단의 내용을 모두 입력 완료 되면 버릴 품목 추가하기 버튼을 눌러서 품목을 선택합니다. 1차, 2차, 3차, 4차 분류를 차례대로 선택합니다.

1차 분류는 가구, 가전, 건강/의료 용품, 생활/주방 용품, 스포츠/레저, 악기, 자동차/공구, 취미/문구 용품, 컴퓨터/디지털, 기타가 있습니다.

가령 컴퓨터 책상을 버리고자 한다면,
  • 1차 분류 : 가구
  • 2차 분류 : 책상
  • 3차 분류 : 컴퓨터 책상
  • 4차 분류 : 가로 70cm 이상
차례대로 선택하면 요금이 자동으로 책정됩니다. 이 예시에서는 6,000원이 표시됩니다. 한 가지 더 해야 하는데, 버릴 물건을 사진으로 찍어서 사진 추가 버튼을 눌러 첨부해 줍니다.  

모두 선택한 다음에 선택 완료 버튼을 눌러줍니다.

배출 일시 입력

배출 일시의 빈 칸을 클릭하면 달력이 팝업 됩니다. 수거할 날짜를 선택하고, 세부 시간을 선택해줍니다.

신청하기 전 확인해야 할 사항

대형 생활 폐기물 수거 빼기 홈페이지 - 신청하기 전 확인사항

신청을 완료하면 신청 내용, 예약 번호가 카카오톡이나 문자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예약 번호를 인쇄해서 물품에 부착해서 배출하면 됩니다. 프린터가 없다면 A4 용지에 유성펜으로 적어서 붙여주세요. 

예약 번호가 없을 시에는 수거를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신청 후 3일 ~ 5일 정도 소요될 수 있고, 지자체 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모두 끝났다면 신청하기 버튼을 눌러 총 결제 금액을 결재 하면 끝!

빼기 앱 설치

안드로이드 휴대폰을 사용하면 구글 플레이에서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다면 앱스토어에서 다운 받아서 설치하면 됩니다. 


맺음

예전에는 이사를 하거나 집에서 사용하던 가전제품이나 가구, 운동 기구 등 사이즈가 제법 큰 물건을 버릴려면 수거 업체에 전화를 해서 대형 폐기물 스티커 발급이나 파는 곳을 찾기 위해 구청, 주민 센터(동사무소), 편의점 등을 찾아 다녀야 했습니다.

이제는 그럴 필요 없이 구청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전화, 온라인 접수, 앱 설치 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됐습니다.

가장 추천하는 방법은 빼기라는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빼기 앱을 폰에 설치해서 처리하면 생활 폐기물 스티커를 사러 다니거나 수거시 현금을 들고 나가지 않아도 되고, 카카오톡으로 수거 상태를 한 눈에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무척 편리한 것 같아요.